생활정보

티스토리+카페24 도메인 연동 시 'ads.txt' 경고 해결 방법 (실패-성공 후기)

DailyInfoLab 2025. 9. 19. 12:34
반응형

찾을수없음
ads.txt 찾을수 없음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자라면 한 번쯤 겪을 수 있는 'ads.txt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경고 해결 후기를 공유합니다. 저는 카페24에서 구입한 도메인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연결한 상태였고, 애드센스 승인 후 이 경고가 계속해서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결론적으로 구매한 웹호스팅 루트폴더에  ads.txt파일을 업로드해서 해결됐습니다.

실패했던 방법:

  1. 카페24에서 CNAME 변경 또는 A 레코드에 티스토리 IP 넣기: 이 방법은 도메인과 블로그를 올바르게 연결하는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NON-'www'가 붙는 1차 도메인 인식을 구글 시스템의 충돌 문제로 인해서인지 저한테는 ads.txt 오류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여전히 www상황에서만 인식이 됐어요. 이럴줄 알았더라면 처음에 티스토리 등록할때 1차 도메인으로 등록하고 승인을 받았어야 했다고 후회했습니다. 
  2. ads.txt 파일을 만들어서 루트 디렉토리에 넣기: 티스토리 블로그는 루트 디렉토리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결국 카페24에서 해결해야 했습니다.

저는 제일 저렴한 웹호스팅 구매후 파일질라를 통해 루트(www)폴더에 넣었어요. 호스팅구매후 상담사 문의해보니, 호스팅 구매에 따른 SSL 인증서 설치를 권유받았습니다. 

그 후 성공한 해결 방법:

승인됨
애스센스 ads.txt 승인됨

저는 우연히 검색하다 누군가 애드센스 홈페이지 설정에서 내부로 선택한게 있다면 공개로 바꾸라는 글을 봤어요. 바로 실행해봤는데 별 소득이 없는듯 했지만 이튿날 다시 확인하다가 문제가 해결된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공개로 바꾼후 ads.txt 승인이 난것으로 안건은 저의 착각이었어요.  카페24 호스팅연결을 해제하니 다사 ads.txt찾을수 없음으로 됐습니다.

결국 카페24에서 웹호스팅구매( 뉴아우토반호스팅 절약형 1년 10,400원) 후 파일질라를 이용해 www폴더에 ads.txt파일을 업로드했던것이 ads.txt파일 찾을수 없음에서 승인됨으로 바뀐 해결책이었습니다. 상담사 연결로 안내된 ssl설치 없이도 승인될수 있었어요.

 

저는 이번에 여러가지로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애드센스 홈에  'ads.txt' 경고, 무시해도 된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애드센스 'ads.txt' 경고가 신경 쓰일수도 있지만 티스토리에서는 어쩔수 없다는 말들을 합니다.  사실 광고 게재 자체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냥 무시하고 블로그 운영을 계속해도 어차피 광고는 정상적으로 나오고 수익도 발생하므로,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뜨는 빨간 경고 문구가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하지만 애드센스 홈페이지의 경고문이 거슬리거나, 좀 더 확실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을 추천합니다.

가장 확실하고 경제적인 해결책: 호스팅 구매 후 파일 업로드

이 방법은 'ads.txt' 경고를 완전히 없애고 애드센스에서 '승인됨'을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1. 무료 또는 저렴한 호스팅 구매: 
  2. 'ads.txt' 파일 업로드: 호스팅에 접속한 후, **FTP 프로그램(예: FileZilla)**을 이용해 'ads.txt' 파일을 **루트 디렉터리(일반적으로 'www' 또는 'public_html' 폴더)**에 업로드하기만 하면 됩니다.
  3. 애드센스 확인: 파일 업로드 후 하루 정도 지나면 애드센스 홈페이지의 경고 문구가 사라지고, '승인됨'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를 따로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처럼 'ads.txt' 경고를 완전히 해결하고 싶다면 저렴한 호스팅을 이용해 파일을 직접 업로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ads.txt파일 만드는 법을 추가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누구나 쉽게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방법1. 애드센스 홈 - 빨간색 경고문  지금해결하기 클릭 - 코드복사후 메모장에 붙여넣기한다. 파일이름을 ads.txt
방법2. 에드센스홈 - 왼쪽 메뉴에서 계정 > 설정 > 계정 정보 -게시자 아이디확인(pub-0000000)

   방법2는 아래순서대로 따라하세요.

 

  1. 메모장 열기: 컴퓨터에서 메모장(Notepad) 프로그램을 열어주세요.
  2. 코드 복사 및 붙여넣기: 아래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습니다.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 DIRECT, f08c47fec0942fa0
    
  3. 'pub-' 부분 수정하기: 붙여넣기 한 코드의 pub-0000000000000000 부분을 자신의 애드센스 게시자 ID로 바꿔야 합니다.
  •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로그인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계정 > 설정 > 계정 정보로 들어갑니다.
  • '게시자 ID' 옆에 있는 pub-로 시작하는 코드를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4. 파일 이름 변경하여 저장하기:

  1. 메모장에서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합니다.
  2. 파일 이름을 ads.txt로 입력합니다. (파일 확장자까지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3. 파일 형식은 텍스트 문서(.txt) 그대로 두고, 인코딩은 UTF-8로 선택한 후 저장합니다.

 

 

반응형